맨위로가기

청동기 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동기 시대는 구리와 주석의 합금인 청동을 사용하여 제작된 도구와 무기를 사용하던 시기이다. 이 시기는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를 거쳐 금속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시작되었으며, 청동의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농업 생산성 향상, 사회 발전, 문명의 성립을 가져왔다. 청동기 시대는 유일기원설, 다원설, 중심지설 등 기원에 대한 다양한 학설이 존재하며, 청동기 제작 기술의 발달과 교역의 확대를 특징으로 한다. 세계 각 지역에서 서로 다른 시기에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었으며, 동아시아, 서아시아, 유럽, 남아시아,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지에서 각기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1200년경 '기원전 1200년의 카타스트로프'로 불리는 사건을 겪으며 종말을 맞이하고 철기 시대로 전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동기 시대 - 인도유럽조어
    인도유럽조어는 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등 여러 유럽 및 인도 언어의 공통 조상어로 추정되는 재구된 언어이며, 문자 기록이 없어 후대 언어 비교를 통해 재구성되었고, 18세기부터 연구가 시작되어 다양한 가설과 음운 변화 법칙을 통해 발전해왔다.
  • 청동기 시대 - 반달돌칼
    반달돌칼은 신석기 시대 말기부터 청동기 시대에 사용된 수확 도구로, 중국 화북 지방에서 기원하여 한반도로 전래되었으며, 돌날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고 초기 철기 시대에 쇠퇴했으나 농업 기술 및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 선사 시대 - 철기 시대
    철기 시대는 철제 도구와 무기, 특히 강철 합금의 생산과 사용이 보편화된 시기로, 청동기 시대보다 단단하고 가벼운 도구를 만들 수 있게 했으며, 농업 생산량 증가, 군사력 강화, 사회 구조 변화를 가져왔다.
  • 선사 시대 - 신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1만 년경부터 기원전 2천 년경까지 간석기 사용, 농경과 목축의 시작을 특징으로 하며, 지역에 따라 토기 사용이나 정착 생활 등이 추가적인 기준이 되고, 서남아시아에서 시작된 문화가 확산되어 농업과 목축의 발전으로 신석기 혁명이 일어났고, 각 지역의 환경과 문화적 특징에 따라 다양한 문화가 발전하다 청동기 또는 철기 시대의 도래와 함께 종료되었다.
  • 고고학 - 선사 시대
    선사 시대는 인류가 문자를 사용하기 이전 시대로, 고고학 등의 연구를 통해 인류 출현부터 문자의 발명까지를 아우르며 석기, 청동기, 철기 시대로 나뉜다.
  • 고고학 - 철기 시대
    철기 시대는 철제 도구와 무기, 특히 강철 합금의 생산과 사용이 보편화된 시기로, 청동기 시대보다 단단하고 가벼운 도구를 만들 수 있게 했으며, 농업 생산량 증가, 군사력 강화, 사회 구조 변화를 가져왔다.
청동기 시대
지도 정보
시대 구분
선행 시대신석기 시대
후행 시대철기 시대
주요 특징
기술청동기 제조 기술 발달, 도구 및 무기 제작에 사용
사회계층 사회 발생, 국가 형성, 도시 발전, 농업 생산성 증가
문화거석 문화, 무덤 양식 변화
지역별 청동기 시대
서아시아와 근동메소포타미아
고대 이집트
아나톨리아
레반트
남아시아인더스 문명
동아시아중국
유럽미케네 문명
크레타 문명
청동기 시대 유럽
기타 지역중앙아시아
연대
시작기원전 3300년경
종료기원전 1200년경
지속 기간약 2100년
기타 정보
주요 유적크노소스
미케네
하투사
모헨조다로
청동기 문화미노아 문명
미케네 문명
상나라
샤이 문화

2. 청동기의 기원과 특징

청동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학설이 존재한다. 유일기원설, 다원설, 중심지설 등이 그것이다. 유일기원설은 시베리아 예니세이 강 상류의 알타이산맥 일대와 소아시아나 메소포타미아 즉 오리엔트 일대에서 기원했다는 두가지 설이 있다. 오리엔트설에서는 청동기가 도나우 강을 따라 유럽으로, 남아시아를 거쳐 시베리아중국으로 전해졌다고 본다. 다원설은 알타이산맥 기원설, 우랄산맥 기원설, 안양 은허 기원설, 그리고 대표적인 오리엔트 기원설등이 있다. 중심지설은 아르메니아와 코카서스 및 이란 고원을 연결하는 산악 지역이 원시적인 청동기의 발생지이고, 메소포타미아에 제1차 중심지를 형성하고, 거기에서 소아시아, 유럽(우랄), 시베리아(알타이), 그리고 중국에 각각 제2, 제3 중심지를 만들고, 그곳을 거점으로 하여 주변에 파급되었다는 설이다.[111]

청동은 구리주석합금으로, 다른 금속보다 더 단단하고 내구성이 뛰어나 기술적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 청동기 시대는 광범위한 금속 사용과 무역 네트워크 발전의 시대였다.

청동은 전성이 풍부하고 가공성이 뛰어나며, 구리에 비해 융점이 낮고 용융이 용이하면서도 매우 높은 경도를 가지고 있어 무기농기구 등에 사용되었다. 열전도성이나 내구성광택 등 금속의 일반적인 성질이 당시 사람들에게 희소 가치를 지녔기 때문에, 제례에 사용된 신성한 신구나 고귀한 자가 사용하는 장신구로 주석을 많이 포함한 청동기가 제작되었다. 한편, 주석 함량에 비례하여 취성이 높아지므로, 청동제 도검에는 황금색 정도의 색채를 가진 청동이 많이 사용되었다.

주석은 매우 지역적인 편재가 심한 광물 중 하나이며[108], 주석을 얻을 수 없었던 지역에서는 청동기 시대에 도달하지 못하고 석기 시대가 매우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주석은 청동기 시대에 매우 중요한 교역 물자로 취급되었다. 수메르 문명에서는 구리는 이란 고원에서, 나중에는 마간(현 오만)에서, 주석은 아프가니스탄 서부에서 각각 수송되어 왔다. 이것은 먼 원격지 사이를 잇는 장거리 교역 시스템이 이미 구축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청동기 시대의 무역선에서는 종종 주석이나 구리의 잉곳이 발견되어, 이 두 품목이 청동기 시대에 매우 중요한 교역품이었음을 보여준다[109].

청동기의 획득으로, 석기 시대에 비해 농업 생산 효율의 향상, 군사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사회의 급격한 발전과 직업의 분화, 문화 수준의 향상이 일어났다. 이러한 이유로 청동기 시대에 접어든 지역에서는 각지에서 문명이 성립하고, 주변의 농경민이 집주하여 도시가 형성되고, 마침내 국가를 형성하게 되었다. 문자의 발명이나 의 광범위한 사용, 바퀴의 사용, 신분의 분화 등도 대부분 이 청동기 시대에 시작되었다.

2. 1. 청동기 제작 기술

초기 청동은 주석 성분을 많이 포함한 구리 광석 제련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주석과 구리를 혼합하여 합금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2] 주석 함량에 따라 청동의 색깔과 경도가 달라지며, 용도에 맞는 다양한 청동기가 제작되었다.

유럽과 소아시아에서의 야금술 확산 — 가장 어두운 영역이 가장 오래된 지역입니다.


청동기 시대는 청동의 광범위한 사용을 특징으로 하지만, 청동 기술의 도입과 발전은 전 세계적으로 동시에 일어난 것이 아니었다. 청동은 기원전 4천년기 중반 북카우카서스의 마이콥 문화에서 독자적으로 발견되어 가장 오래된 청동을 생산한 곳이 되었으나, 비소 청동만 가지고 있었다. 다른 지역에서는 청동과 관련 기술이 다른 시기에 개발되었다. 주석 청동 기술에는 체계적인 기술이 필요하며, 주석은 (주로 주석 광석인 카시테라이트) 채굴되어 따로 제련한 다음 뜨거운 구리에 첨가하여 청동 합금을 만들어야 했다. 청동기 시대는 광범위한 금속 사용과 무역 네트워크 발전의 시대였다.[3]

2013년 보고서에 따르면, 가장 초기의 주석 합금 청동은 세르비아 플로치니크의 빈차 문화 유적지에서 발견된 기원전 5천년기 중반의 박으로, 이 문화는 일반적으로 청동기 시대로 간주되지 않는다.[3] 그러나 이 박의 연대 측정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4][5]

2. 2. 청동기 시대의 교역

주석구리는 지역에 따라 편재되어 있어, 청동기 시대에는 장거리 교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107] 수메르 문명에서는 이란 고원, 아프가니스탄 등지에서 구리와 주석을 수입했다. 에게 문명에서는 주석과 목탄을 키프로스에서 수입하고, 청동 제품을 널리 수출했다. 무역과 산업은 청동기 시대 문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인더스 문명 유물이 고대 메소포타미아이집트에서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이 문명들은 서로 교류하고 무역을 했음이 분명하다. 초기 장거리 무역은 향신료, 직물, 귀금속과 같은 사치품에 거의 국한되었다. 이는 이러한 상품을 풍부하게 보유한 도시들을 부유하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역사상 처음으로 문화의 융합을 가져왔다.[107]

무역로는 육지만이 아니었다. 최초이자 가장 광범위한 무역로는 나일 강, 티그리스 강, 유프라테스 강과 같은 강을 따라 형성되었으며, 이는 강변 도시들의 성장으로 이어졌다. 나중에 낙타가 길들여짐에 따라 육로를 통한 무역로가 더욱 발전하여 인더스 계곡과 지중해를 연결했다. 이는 또한 중간 기착지나 육로-해상 운송 항구가 있는 곳에 도시가 나타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3. 세계 각 지역의 청동기 시대

## 동아시아

### 한국

한반도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1500년경에서 기원전 300년경의 시기에 해당하며, 민무늬토기를 사용했기 때문에, 민무늬토기 시대라고도 한다.

화순군 대곡리 출토 청동기 유물


한국 반도에서는 기원전 1000~800년경에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었다.[56][57] 초기에는 요녕(랴오닝)과 만주 남부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한국 청동기 문화는 특히 의례용품에서 독특한 유형과 양식을 보여준다.

무문토기 시대는 시대 전반, 특히 기원전 850년에서 550년 사이에 토기 조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무늬 없는 또는 평범한 조리 및 저장 용기의 한국어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무문토기 시대는 한국 반도와 일본 열도 모두에서 집약적인 농업과 복잡한 사회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반도 남부의 중기 무문토기 시대 문화는 요녕식 청동단검과 다른 청동 유물이 한국 반도 남부 내륙까지(기원전 900~700년경) 교류된 기간 이후에 청동 생산을 점차적으로 채택하였다(기원전 700~600년경). 청동 단검은 이를 사용하고 고위층 거석 매장지에 매장된 인물들에게 권위와 지위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고위층 거석 매장지는 이금동 유적과 같은 남해안 중심지에 위치하였다. 청동은 기원전 100년까지 의례와 장례 제물에서 중요한 요소였다.

### 중국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 유물은 마자야오 문화(기원전 3100~2700년) 유적에서 발견되었다.[37][38]

중국에서 "청동기 시대"라는 용어는 서구 유라시아의 고고학에서 유래되었는데, 중국 선사 시대의 맥락에서 "청동기 시대"를 구분하는 데에는 학자들 간의 합의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관례는 없다.[39] 일반적으로 중국의 "초기 청동기 시대"는 상나라(기원전 16세기~11세기)의 통치 기간과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되며,[40] 후기 청동기 시대는 그 후의 주나라(기원전 11세기~기원전 3세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5세기부터는 철기 시대 중국이라고 불리지만, 철기 시대로의 뚜렷한 전환이 없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청동기 시대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다.[41]

상나라의 두 개의 손잡이가 있는 청동 기(gefuding gui)(기원전 1600~1046년)


춘추 시대의 뚫린 문양과 얽힌 용 디자인의 청동기 '푸'(pu)(기원전 770년경~기원전 481년경)


중국의 청동 야금술은 얼리터우 문화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일부 역사가들은 이 시대를 상나라에 속하는 것으로 주장한다.[43] 다른 학자들은 얼리터우 유적이 그 이전의 하나라에 속한다고 믿는다.[44] 미국 국립 미술관은 중국 청동기 시대를 기원전 2000년경~기원전 771년경으로 정의하는데, 이 시기는 얼리터우 문화로 시작하여 서주의 붕괴와 함께 갑자기 끝난다.[45]

얼리터우의 청동 생산은 중국 중원에서 가장 초기의 대규모 야금 산업을 보여준다.

중국에서 철의 사용은 주나라(기원전 1046년경~기원전 256년) 시대부터 시작되었지만, 그 사용은 제한적이었다. 기원전 6세기에 쓰여진 중국 문헌은 철 제련에 대한 지식을 증명하지만, 청동은 그 이후에도 상당 기간 고고학적 및 역사적 기록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49]

중국 청동 유물은 일반적으로 실용적인 것이거나, 일상 용기의 정교한 버전인 "중국 의례용 청동기"이다. 예를 들어, '정(Ding (vessel))'으로 알려진 수많은 대형 제사용 삼족솥이 있다. 현존하는 중국 의례용 청동기에는 종종 '도철' 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양식화된 동물 얼굴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악마, 상징적인 동물, 추상적인 기호의 세 가지 주요 모티프 유형으로 나타난다.[51] 많은 대형 청동기에는 주조된 비문인 중국 청동기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현존하는 초기 한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주나라 시대 중국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서주의 청동기는 종종 다양한 계급과 사회 계층의 사람들이 지은 기존 텍스트에서 찾을 수 없는 역사의 많은 부분을 보여준다. 또한 주조된 청동은 그들이 보존하는 기록에 영구성을 부여한다.[52]

### 일본

야요이 시대철기와 청동기가 거의 동시에 전래되어, 청동기는 제사용으로만 이용되었으므로 청동기 시대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철기 시대로 직행한 것으로 보인다.[110] 실제로 일본 국내에서 발굴되는 청동기는 제기(祭器)로 사용된 것이 매우 많고, 실용적인 금속기로 사용된 것은 적다. 오히려 실용적인 금속기는 철기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일본은 청동기 시대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의 전형적인 예로 자주 거론된다.

기원전 2세기 야요이 시대의 도탁(銅鐸) 청동 방울


기원전 2세기 야요이 시대의 청동 창촉


일본 열도에서는 초기 야요이 시대(기원전 300년경)에 청동기가 도입되었는데, 이는 대륙에서 온 이주민들이 금속 가공과 농업 기술을 가져온 결과였다. 청동과 철 제련은 다른 고대 동아시아 문명들, 특히 고대 한반도와 고대 중국 본토와의 교류, 이주와 무역을 통해 일본 열도로 전파되었다. 철은 주로 농기구 및 기타 도구에 사용되었고, 의례용 및 의식용 유물은 주로 청동으로 만들어졌다.[55]

## 서아시아 및 근동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문명에서 기원전 3500년경부터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서아시아와 근동은 기원전 4천년 중반 수메르의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부상과 함께 청동기 시대를 맞이했다. 이 지역의 문화들은 문자 체계를 개발하고, 도자기 만드는 물레를 발명하고, 중앙 집권 정부를 만들었으며, 발전된 건축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사회 계층화와 노예 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조직적인 전쟁, 의학, 종교를 실천하고, 천문학, 수학, 점성술의 기초를 마련했다.

근동 청동기 시대는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눌 수 있다.

  • 초기 청동기 시대(기원전 3300년–기원전 2100년)
  • 중기 청동기 시대(기원전 2100년–기원전 1550년)
  • 후기 청동기 시대(기원전 1550년–기원전 1200년)


히타이트 제국은 기원전 18세기에 하투사에 건설되었다. 기원전 14세기 전성기에는 아나톨리아 중부, 우가릿까지 이르는 시리아 남서부, 그리고 메소포타미아 상류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고대 이집트에서 청동기 시대는 프로토 왕조 시대(기원전 3150년경)에 시작되었다. 고대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는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일(기원전 3100년경) 직후에 이어졌으며, 제1왕조와 제2왕조를 포함한다. 고대 이집트 고왕국은 기원전 3천년기에 이집트 문명이 복잡성과 업적의 첫 번째 지속적인 정점에 도달했던 시대를 가리킨다. 고대 이집트 제1중간기는 고왕국 종말 이후 약 100년간 지속되었으며, 이집트는 두 지역으로 나뉘었던 역동적인 시대였다.

여성 인물상이 새겨진 청동 거울, 고대 이집트 제18왕조 (기원전 1540~1296년)


투트모세 3세(기원전 1479~1425년)의 스핑크스 사자상


엘람은 메소포타미아 동쪽에 위치했던 이란 이전 시대의 고대 문명이었다. 중기 청동기 시대에 엘람은 이란 고원에 있는 왕국들로 구성되었으며, 중심지는 안샨이었다.

메소포타미아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3500년경에 시작되어 기원전 1500년에서 1155년경의 카시트 시대까지 지속되었다. 아카드 제국(기원전 2335~2154년)은 이 지역의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고, 멸망 후 수메르인들은 신수메르 제국으로 르네상스를 맞았다. 아모리트 왕 샴시-아다드 1세 치하에서 아시리아는 구아시리아 제국(기원전 1800~1600년경)과 함께 지역 강국이 되었다. 아모리트 왕조는 기원전 19세기에 바빌론 도시 국가를 건설했고, 1세기가 지난 후 구바빌로니아 시대라고 불리는 시기에 단명한 제1바빌로니아 제국을 건설했다.

## 유럽

유럽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3200년경 에게 문명에서 시작되었다. 에게 청동기 시대는 문명들이 광범위한 무역망을 구축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 무역망을 통해 주석과 목탄을 키프로스로 수입하여 구리와 합금, 청동을 생산하고 널리 수출했다.[74] 이 시기에는 항해 기술이 매우 발달하였다.[74] 미노아 문명은 청동기 시대 무역을 조정하고 방어했던 것으로 보인다.[75]

기원전 1600년경 테라 화산 폭발(산토리니)은 미노아 문명의 쇠퇴를 촉진시켰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82][83] 이후 미케네 문명크노소스를 정복했다. 에게 해 지역 청동기 시대 말기에 미노아의 패권이 쇠퇴하고, 미케네 문명의 행정부도 쇠퇴하였다.[76] 이는 무역 네트워크의 실패, 기근, 전염병, 가뭄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75][77] 에게 해 붕괴는 키프로스 숲의 고갈로 인한 청동기 무역의 종식, 철기구의 보편화 등과도 연관되어 있다.[78][79][80][81]

그리스 미케네에서 발견된 미케네 문명 시대의 금으로 만든 아가멤논의 가면, 기원전 1550년경


중앙 유럽에서는 기원전 2300년에서 1600년 사이의 우네티체 문화가 초기 청동기 시대를 대표한다. 슈트라우빙 문화, 아들러베르크 문화등의 작은 문화 집단을 포함한다. 로이빙겐에서 발견된 금으로 만든 부장품이 있는 무덤은 사회적 계층화의 증가를 보여준다. 우네티체 문화 이후에는 무덤 문화(기원전 1600~1200년)가 나타났으며, 토무리 봉분에 매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후기 청동기 시대 우른필드 문화(기원전 1300~700년)는 화장 매장이 특징이며, 독일 동부와 폴란드의 루사티아 문화를 포함한다.



네브라 하늘 원반은 우네티체 문화(기원전 1800~1600년)의 유물이다.


북유럽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1700년경부터 기원전 500년경까지 지속되었다. 이 문화는 무역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양모, 목재, 청동, 금으로 만든 풍부하고 잘 보존된 유물들이 발견된다. 수천 개의 암각화에는 배가 묘사되어 있으며, 이는 선박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

트룬드홀름 태양 마차, 덴마크,


영국에서는 기원전 2100년경부터 기원전 750년까지 청동기 시대가 이어졌다.[85] 스톤헨지 주변의 초기 청동기 시대 무덤에서 발견된 유골에 대한 연구는 이주민 중 일부가 오늘날 스위스 지역 출신이었음을 보여준다.[85] 머스트 팜에서는 가장 완벽한 청동기 시대 바퀴가 발견되었다. 비커 문화는 초기 신석기 시대 사람들과는 다른 행동을 보였으며, 초기 헨지 유적지의 많은 부분이 신규 이주민들에 의해 채택된 것으로 보아 통합은 평화로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데버럴-림버리 문화는 청동기 시대 중기 후반(기원전 1400~1100년경)에 등장했다.

청동 방패, 청동기 시대 영국, 기원전 1300~1000년


대서양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100년에서 기원전 800년/700년경까지 존속했다. 대서양 연안을 따라 여러 문화가 경제적, 문화적 교류를 하였다.

아일랜드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000년경 구리주석을 합금하여 밸리베그식 평평한 도끼와 관련 금속 세공품을 제작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발칸 반도에서는 기원전 4650년경 플로치닉 고고학 유적지에서 주석 청동박이 발견되었다.[3] 이는 초기 주석 청동이 유럽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3]

발키트란 보물(Valchitran Treasure), 기원전 1600~1100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 유물은 기원전 4600년에서 4200년 사이 바르나의 네크로폴리스에서 발견되었다.[71][72][73] 다베네 보물은 2만 개의 금 보석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원전 3천년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1200년경 청동기 시대 붕괴 당시 침입, 파괴 및 가능한 인구 이동




## 남아시아

인도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3300년경 인더스 문명의 시작과 함께 시작되었다.[58][59] 인더스 계곡에 거주하던 하라파인들은 야금술에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여 구리, 청동, 납, 주석을 생산했다. 이 문명의 도시들은 도시 계획, 벽돌집, 정교한 배수 시스템, 상수도 시스템, 대규모 비주거 건물 군집, 그리고 공예 및 야금술 분야의 새로운 기술로 유명했다.[60] 모헨조다로하라파의 대도시는 3만 명에서 6만 명 사이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으며,[61] 문명의 전성기에는 100만 명에서 500만 명 사이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을 수 있다.[62] 메르가르(Mehrgarh)에서 제작된 6,000년 된 구리 부적으로 바퀴살 모양을 한 것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로스트 왁스 주조법의 예라고 주장되어 왔다.

모헨조다로의 ''춤추는 소녀''(Dancing Girl), 기원전 2500년경


## 중앙아시아

알타이산맥은 세이마-투르비노 현상의 기원으로, 기원전 2000년경 이 지역에서 발생한 기후 변화와 그에 따른 생태계, 경제, 정치적 변화는 북동유럽, 중국, 베트남, 태국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으로의 빠르고 대규모 이동을 촉발했다.[112][34] 이러한 이동은 단 5~6세대 만에 이루어졌으며, 핀란드에서 태국에 이르는 지역의 사람들이 동일한 금속 가공 기술을 사용하게 되었다.[33] 그러나 최근 유전자 검사 결과는 청동기 기술의 확산이 서쪽 지역에서 이미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던 기술이 인도유럽인의 이동을 통해 동쪽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35][36]

바크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유적지(BMAC)는 옥수스 문명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기원전 2400년에서 1600년 사이 아프가니스탄 북부, 투르크메니스탄 동부, 우즈베키스탄 남부, 타지키스탄 서부에 위치하며, 상류 아무다리야 강(옥수스 강)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30] 이 유적지는 소련의 고고학자 빅토르 사리아니디에 의해 발견되었다.[30] BMAC은 인더스 문명, 이란 고원과 밀접한 국제 관계를 맺었고, 간접적으로 메소포타미아와도 관계를 맺었다.[31]

##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의 청동기 시대는 사회 계층화나 전쟁보다는 농업 발달과 관련이 깊다는 특징을 보인다.[65]

베트남에서는 동손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동손 청동북이 홍강 삼각주와 중국 남부 지역에서 발굴되었다.[68] 베트남 북부의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금속 가공의 출현 이후 전염병 발생률이 증가했는데, 이는 인구 밀도 증가와 토지 개간, 농업으로 인한 식단 변화, 또는 새로운 전염병의 등장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69]

태국의 반치앙에서는 기원전 21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청동기 유물이 발견되었다.[63]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근거로 반치앙의 초기 청동기 시대가 기원전 2천년기 후반이라고 주장한다.[66] 찰스 하이엄이 발굴한 반 논 와트는 640개가 넘는 무덤과 복잡한 청동기 유물이 발견된 풍부한 유적지이다.[64] 반창 유적지는 동남아시아에서 금속 제련의 가장 명확한 증거를 가지고 있으며, 초기부터 현장 주조를 시사하는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이는 청동이 다른 나라에서 동남아시아로 처음 유입되었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65]

미얀마의 냐웅간에서는 청동기 도구가 도자기 및 석기 유물과 함께 발굴되었으며, 연대는 기원전 3500~500년으로 추정된다.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의 청동기 시대 금속 제련은 사회적 계층화와 전쟁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사회적 분배는 족장 사회에서 이질적인 네트워크로 이동했다.[65] 반 룸 카오, 반 나 디, 논 녹 타, 콕 파놈 디, 농 노르와 같은 유적지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연구자들은 굳건한 계층 구조가 없었다는 결론을 내렸다.[67]

## 아프리카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서 철과 구리 제련은 거의 동시에 나타났다.[97][98] 따라서 이집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고대 아프리카 문명은 구리 시대를 거치지 않았다. 철 제련의 증거는 나이지리아(약 기원전 900~800년), 르완다부룬디(약 기원전 700~500년), 탄자니아(약 기원전 300년)에서 구리 제련과 동시에 또는 더 이전에 나타난다.[98][99][100]

사하라 사막을 건너 북아프리카 또는 인도양에서 구리와 철 야금술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되었는지, 아니면 외부에서 도입되었는지에 대한 오랜 논쟁이 있다.[98] 독자적 개발과 외부 도입 이론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며 활발한 학술적 논쟁의 대상이다.[98] 학자들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고고학적 연구 부족과 오랜 편견이 아프리카 대륙의 선사 시대 야금술에 대한 이해를 제한하거나 편향시켰다고 제안했다.[99][101][102]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도 청동기 시대는 존재하지 않으며, 구리의 사용 자체도 철기 전래 이후이고, 장신구 등 제한적인 사용에 그쳤다.[110]

서아프리카에서는 철 제련이 등장하기 이전에 구리 제련이 이루어졌다. 니제르 아가데즈(Agadez) 근처에서 발견된 구리 제련로의 증거는 기원전 2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9] 그러나 이 지역에서 기원전 1000년 이전의 구리 생산에 대한 증거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103][97][99] 모리타니(Mauretania) 아크주이트(Akjoujt)에서 발견된 구리 채광 및 제련의 증거는 기원전 800년~400년경 소규모 생산을 시사한다.[99]

##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서는 기원전 1500년 직전의 몇 세기에 걸쳐 안데스 산맥 일대에서 청동기의 대량생산이 막 시작되었다.[104] 모체 문화는 독자적으로 청동 제련을 발견하고 발전시켰으며,[104] 잉카 제국에 의해 더욱 발전되어 실용적인 물건과 조각에 널리 사용되었다.[105] 멕시코 서부에서 나중에 나타난 제한적인 청동 제련은 해당 지역이 안데스 문명과 접촉했거나 기술을 별도로 발견했음을 시사한다. 아르헨티나 북서부의 칼차키족은 청동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106]

중남미에서는 철을 발견하지 않고도 문명과 문화를 발전시켜 역사 시대에 진입했기 때문에, 청동기 시대라는 구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광업·야금 기술의 발전과 함께 청동뿐만 아니라 금과 은, 또는 금·은·구리 합금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금속기의 사용은 거의 장신구 등 일부에 그쳤고, 무기 등 실용품의 대부분은 석기인 채로, 소위 금석 병용 상태였다.

3. 1. 동아시아

한반도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1500년경에서 기원전 300년경의 시기에 해당하며, 민무늬토기를 사용했기 때문에, 민무늬토기 시대라고도 한다.

한국 반도에서는 기원전 1000~800년경에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었다.[56][57] 초기에는 요녕(랴오닝)과 만주 남부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한국 청동기 문화는 특히 의례용품에서 독특한 유형과 양식을 보여준다.

무문토기 시대는 시대 전반, 특히 기원전 850년에서 550년 사이에 토기 조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무늬 없는 또는 평범한 조리 및 저장 용기의 한국어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무문토기 시대는 한국 반도와 일본 열도 모두에서 집약적인 농업과 복잡한 사회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반도 남부의 중기 무문토기 시대 문화는 요녕식 청동단검과 다른 청동 유물이 한국 반도 남부 내륙까지(기원전 900~700년경) 교류된 기간 이후에 청동 생산을 점차적으로 채택하였다(기원전 700~600년경). 청동 단검은 이를 사용하고 고위층 거석 매장지에 매장된 인물들에게 권위와 지위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고위층 거석 매장지는 이금동 유적과 같은 남해안 중심지에 위치하였다. 청동은 기원전 100년까지 의례와 장례 제물에서 중요한 요소였다.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 유물은 마자야오 문화(기원전 3100~2700년) 유적에서 발견되었다.[37][38]

중국에서 "청동기 시대"라는 용어는 서구 유라시아의 고고학에서 유래되었는데, 중국 선사 시대의 맥락에서 "청동기 시대"를 구분하는 데에는 학자들 간의 합의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관례는 없다.[39] 일반적으로 중국의 "초기 청동기 시대"는 상나라(기원전 16세기~11세기)의 통치 기간과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되며,[40] 후기 청동기 시대는 그 후의 주나라(기원전 11세기~기원전 3세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5세기부터는 철기 시대 중국이라고 불리지만, 철기 시대로의 뚜렷한 전환이 없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청동기 시대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다.[41]

중국의 청동 야금술은 얼리터우 문화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일부 역사가들은 이 시대를 상나라에 속하는 것으로 주장한다.[43] 다른 학자들은 얼리터우 유적이 그 이전의 하나라에 속한다고 믿는다.[44] 미국 국립 미술관은 중국 청동기 시대를 기원전 2000년경~기원전 771년경으로 정의하는데, 이 시기는 얼리터우 문화로 시작하여 서주의 붕괴와 함께 갑자기 끝난다.[45]

얼리터우의 청동 생산은 중국 중원에서 가장 초기의 대규모 야금 산업을 보여준다.

중국에서 철의 사용은 주나라(기원전 1046년경~기원전 256년) 시대부터 시작되었지만, 그 사용은 제한적이었다. 기원전 6세기에 쓰여진 중국 문헌은 철 제련에 대한 지식을 증명하지만, 청동은 그 이후에도 상당 기간 고고학적 및 역사적 기록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49]

중국 청동 유물은 일반적으로 실용적인 것이거나, 일상 용기의 정교한 버전인 "중국 의례용 청동기"이다. 예를 들어, '정(Ding (vessel))'으로 알려진 수많은 대형 제사용 삼족솥이 있다. 현존하는 중국 의례용 청동기에는 종종 '도철' 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양식화된 동물 얼굴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악마, 상징적인 동물, 추상적인 기호의 세 가지 주요 모티프 유형으로 나타난다.[51] 많은 대형 청동기에는 주조된 비문인 중국 청동기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현존하는 초기 한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주나라 시대 중국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서주의 청동기는 종종 다양한 계급과 사회 계층의 사람들이 지은 기존 텍스트에서 찾을 수 없는 역사의 많은 부분을 보여준다. 또한 주조된 청동은 그들이 보존하는 기록에 영구성을 부여한다.[52]

야요이 시대철기와 청동기가 거의 동시에 전래되어, 청동기는 제사용으로만 이용되었으므로 청동기 시대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철기 시대로 직행한 것으로 보인다.[110] 실제로 일본 국내에서 발굴되는 청동기는 제기(祭器)로 사용된 것이 매우 많고, 실용적인 금속기로 사용된 것은 적다. 오히려 실용적인 금속기는 철기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일본은 청동기 시대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의 전형적인 예로 자주 거론된다.

일본 열도에서는 초기 야요이 시대(기원전 300년경)에 청동기가 도입되었는데, 이는 대륙에서 온 이주민들이 금속 가공과 농업 기술을 가져온 결과였다. 청동과 철 제련은 다른 고대 동아시아 문명들, 특히 고대 한반도와 고대 중국 본토와의 교류, 이주와 무역을 통해 일본 열도로 전파되었다. 철은 주로 농기구 및 기타 도구에 사용되었고, 의례용 및 의식용 유물은 주로 청동으로 만들어졌다.[55]

3. 1. 1. 한국

한반도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1500년경에서 기원전 300년경의 시기에 해당하며, 민무늬토기를 사용했기 때문에, 민무늬토기 시대라고도 한다.

한국 반도에서는 기원전 1000~800년경에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었다.[56][57] 초기에는 요녕(랴오닝)과 만주 남부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한국 청동기 문화는 특히 의례용품에서 독특한 유형과 양식을 보여준다.

무문토기 시대는 시대 전반, 특히 기원전 850년에서 550년 사이에 토기 조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무늬 없는 또는 평범한 조리 및 저장 용기의 한국어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무문토기 시대는 한국 반도와 일본 열도 모두에서 집약적인 농업과 복잡한 사회의 기원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 반도 남부의 중기 무문토기 시대 문화는 요녕식 청동단검과 다른 청동 유물이 한국 반도 남부 내륙까지(기원전 900~700년경) 교류된 기간 이후에 청동 생산을 점차적으로 채택하였다(기원전 700~600년경). 청동 단검은 이를 사용하고 고위층 거석 매장지에 매장된 인물들에게 권위와 지위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고위층 거석 매장지는 이금동 유적과 같은 남해안 중심지에 위치하였다. 청동은 기원전 100년까지 의례와 장례 제물에서 중요한 요소였다.

3. 1. 2. 중국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청동 유물은 마자야오 문화(기원전 3100~2700년) 유적에서 발견되었다.[37][38]

중국에서 "청동기 시대"라는 용어는 서구 유라시아의 고고학에서 유래되었는데, 중국 선사 시대의 맥락에서 "청동기 시대"를 구분하는 데에는 학자들 간의 합의나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관례는 없다.[39] 일반적으로 중국의 "초기 청동기 시대"는 상나라(기원전 16세기~11세기)의 통치 기간과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되며,[40] 후기 청동기 시대는 그 후의 주나라(기원전 11세기~기원전 3세기)와 일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5세기부터는 철기 시대 중국이라고 불리지만, 철기 시대로의 뚜렷한 전환이 없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청동기 시대가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는 주장도 있다.[41]

중국의 청동 야금술은 얼리터우 문화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일부 역사가들은 이 시대를 상나라에 속하는 것으로 주장한다.[43] 다른 학자들은 얼리터우 유적이 그 이전의 하나라에 속한다고 믿는다.[44] 미국 국립 미술관은 중국 청동기 시대를 기원전 2000년경~기원전 771년경으로 정의하는데, 이 시기는 얼리터우 문화로 시작하여 서주의 붕괴와 함께 갑자기 끝난다.[45]

얼리터우의 청동 생산은 중국 중원에서 가장 초기의 대규모 야금 산업을 보여준다.

중국에서 철의 사용은 주나라(기원전 1046년경~기원전 256년) 시대부터 시작되었지만, 그 사용은 제한적이었다. 기원전 6세기에 쓰여진 중국 문헌은 철 제련에 대한 지식을 증명하지만, 청동은 그 이후에도 상당 기간 고고학적 및 역사적 기록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49]

중국 청동 유물은 일반적으로 실용적인 것이거나, 일상 용기의 정교한 버전인 "중국 의례용 청동기"이다. 예를 들어, '정(Ding (vessel))'으로 알려진 수많은 대형 제사용 삼족솥이 있다. 현존하는 중국 의례용 청동기에는 종종 '도철' 문양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양식화된 동물 얼굴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악마, 상징적인 동물, 추상적인 기호의 세 가지 주요 모티프 유형으로 나타난다.[51] 많은 대형 청동기에는 주조된 비문인 중국 청동기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이는 현존하는 초기 한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주나라 시대 중국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서주의 청동기는 종종 다양한 계급과 사회 계층의 사람들이 지은 기존 텍스트에서 찾을 수 없는 역사의 많은 부분을 보여준다. 또한 주조된 청동은 그들이 보존하는 기록에 영구성을 부여한다.[52]

3. 1. 3. 일본

야요이 시대철기와 청동기가 거의 동시에 전래되어, 청동기는 제사용으로만 이용되었으므로 청동기 시대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철기 시대로 직행한 것으로 보인다.[110] 실제로 일본 국내에서 발굴되는 청동기는 제기(祭器)로 사용된 것이 매우 많고, 실용적인 금속기로 사용된 것은 적다. 오히려 실용적인 금속기는 철기가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일본은 청동기 시대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의 전형적인 예로 자주 거론된다.

일본 열도에서는 초기 야요이 시대(기원전 300년경)에 청동기가 도입되었는데, 이는 대륙에서 온 이주민들이 금속 가공과 농업 기술을 가져온 결과였다. 청동과 철 제련은 다른 고대 동아시아 문명들, 특히 고대 한반도와 고대 중국 본토와의 교류, 이주와 무역을 통해 일본 열도로 전파되었다. 철은 주로 농기구 및 기타 도구에 사용되었고, 의례용 및 의식용 유물은 주로 청동으로 만들어졌다.[55]

3. 2. 서아시아 및 근동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 문명에서 기원전 3500년경부터 청동기 시대가 시작되었다. 서아시아와 근동은 기원전 4천년 중반 수메르의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부상과 함께 청동기 시대를 맞이했다. 이 지역의 문화들은 문자 체계를 개발하고, 도자기 만드는 물레를 발명하고, 중앙 집권 정부를 만들었으며, 발전된 건축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사회 계층화와 노예 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조직적인 전쟁, 의학, 종교를 실천하고, 천문학, 수학, 점성술의 기초를 마련했다.

근동 청동기 시대는 초기, 중기, 후기로 나눌 수 있다.

  • 초기 청동기 시대(기원전 3300년–기원전 2100년)
  • 중기 청동기 시대(기원전 2100년–기원전 1550년)
  • 후기 청동기 시대(기원전 1550년–기원전 1200년)


히타이트 제국은 기원전 18세기에 하투사에 건설되었다. 기원전 14세기 전성기에는 아나톨리아 중부, 우가릿까지 이르는 시리아 남서부, 그리고 메소포타미아 상류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고대 이집트에서 청동기 시대는 프로토 왕조 시대(기원전 3150년경)에 시작되었다. 고대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는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통일(기원전 3100년경) 직후에 이어졌으며, 제1왕조와 제2왕조를 포함한다. 고대 이집트 고왕국은 기원전 3천년기에 이집트 문명이 복잡성과 업적의 첫 번째 지속적인 정점에 도달했던 시대를 가리킨다. 고대 이집트 제1중간기는 고왕국 종말 이후 약 100년간 지속되었으며, 이집트는 두 지역으로 나뉘었던 역동적인 시대였다.

엘람은 메소포타미아 동쪽에 위치했던 이란 이전 시대의 고대 문명이었다. 중기 청동기 시대에 엘람은 이란 고원에 있는 왕국들로 구성되었으며, 중심지는 안샨이었다.

메소포타미아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3500년경에 시작되어 기원전 1500년에서 1155년경의 카시트 시대까지 지속되었다. 아카드 제국(기원전 2335~2154년)은 이 지역의 지배적인 세력이 되었고, 멸망 후 수메르인들은 신수메르 제국으로 르네상스를 맞았다. 아모리트 왕 샴시-아다드 1세 치하에서 아시리아는 구아시리아 제국(기원전 1800~1600년경)과 함께 지역 강국이 되었다. 아모리트 왕조는 기원전 19세기에 바빌론 도시 국가를 건설했고, 1세기가 지난 후 구바빌로니아 시대라고 불리는 시기에 단명한 제1바빌로니아 제국을 건설했다.

3. 3. 유럽

유럽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3200년경 에게 문명에서 시작되었다. 에게 청동기 시대는 문명들이 광범위한 무역망을 구축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이 무역망을 통해 주석과 목탄을 키프로스로 수입하여 구리와 합금, 청동을 생산하고 널리 수출했다.[74] 이 시기에는 항해 기술이 매우 발달하였다.[74] 미노아 문명은 청동기 시대 무역을 조정하고 방어했던 것으로 보인다.[75]

기원전 1600년경 테라 화산 폭발(산토리니)은 미노아 문명의 쇠퇴를 촉진시켰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82][83] 이후 미케네 문명크노소스를 정복했다. 에게 해 지역 청동기 시대 말기에 미노아의 패권이 쇠퇴하고, 미케네 문명의 행정부도 쇠퇴하였다.[76] 이는 무역 네트워크의 실패, 기근, 전염병, 가뭄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75][77] 에게 해 붕괴는 키프로스 숲의 고갈로 인한 청동기 무역의 종식, 철기구의 보편화 등과도 연관되어 있다.[78][79][80][81]

중앙 유럽에서는 기원전 2300년에서 1600년 사이의 우네티체 문화가 초기 청동기 시대를 대표한다. 슈트라우빙 문화, 아들러베르크 문화등의 작은 문화 집단을 포함한다. 로이빙겐에서 발견된 금으로 만든 부장품이 있는 무덤은 사회적 계층화의 증가를 보여준다. 우네티체 문화 이후에는 무덤 문화(기원전 1600~1200년)가 나타났으며, 토무리 봉분에 매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후기 청동기 시대 우른필드 문화(기원전 1300~700년)는 화장 매장이 특징이며, 독일 동부와 폴란드의 루사티아 문화를 포함한다.

북유럽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1700년경부터 기원전 500년경까지 지속되었다. 이 문화는 무역을 통해 형성되었으며, 양모, 목재, 청동, 금으로 만든 풍부하고 잘 보존된 유물들이 발견된다. 수천 개의 암각화에는 배가 묘사되어 있으며, 이는 선박이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

영국에서는 기원전 2100년경부터 기원전 750년까지 청동기 시대가 이어졌다.[85] 스톤헨지 주변의 초기 청동기 시대 무덤에서 발견된 유골에 대한 연구는 이주민 중 일부가 오늘날 스위스 지역 출신이었음을 보여준다.[85] 머스트 팜에서는 가장 완벽한 청동기 시대 바퀴가 발견되었다. 비커 문화는 초기 신석기 시대 사람들과는 다른 행동을 보였으며, 초기 헨지 유적지의 많은 부분이 신규 이주민들에 의해 채택된 것으로 보아 통합은 평화로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데버럴-림버리 문화는 청동기 시대 중기 후반(기원전 1400~1100년경)에 등장했다.

대서양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100년에서 기원전 800년/700년경까지 존속했다. 대서양 연안을 따라 여러 문화가 경제적, 문화적 교류를 하였다.

아일랜드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2000년경 구리주석을 합금하여 밸리베그식 평평한 도끼와 관련 금속 세공품을 제작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

발칸 반도에서는 기원전 4650년경 플로치닉 고고학 유적지에서 주석 청동박이 발견되었다.[3] 이는 초기 주석 청동이 유럽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3]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 유물은 기원전 4600년에서 4200년 사이 바르나의 네크로폴리스에서 발견되었다.[71][72][73] 다베네 보물은 2만 개의 금 보석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원전 3천년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3. 4. 남아시아

인도의 청동기 시대는 기원전 3300년경 인더스 문명의 시작과 함께 시작되었다.[58][59] 인더스 계곡에 거주하던 하라파인들은 야금술에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여 구리, 청동, 납, 주석을 생산했다. 이 문명의 도시들은 도시 계획, 벽돌집, 정교한 배수 시스템, 상수도 시스템, 대규모 비주거 건물 군집, 그리고 공예 및 야금술 분야의 새로운 기술로 유명했다.[60] 모헨조다로하라파의 대도시는 3만 명에서 6만 명 사이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으며,[61] 문명의 전성기에는 100만 명에서 500만 명 사이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을 수 있다.[62] 메르가르(Mehrgarh)에서 제작된 6,000년 된 구리 부적으로 바퀴살 모양을 한 것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로스트 왁스 주조법의 예라고 주장되어 왔다.

3. 5. 중앙아시아

알타이산맥은 세이마-투르비노 현상의 기원으로, 기원전 2000년경 이 지역에서 발생한 기후 변화와 그에 따른 생태계, 경제, 정치적 변화는 북동유럽, 중국, 베트남, 태국에 이르는 광범위한 지역으로의 빠르고 대규모 이동을 촉발했다.[112][34] 이러한 이동은 단 5~6세대 만에 이루어졌으며, 핀란드에서 태국에 이르는 지역의 사람들이 동일한 금속 가공 기술을 사용하게 되었다.[33] 그러나 최근 유전자 검사 결과는 청동기 기술의 확산이 서쪽 지역에서 이미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던 기술이 인도유럽인의 이동을 통해 동쪽으로 전파되었다는 것을 뒷받침한다.[35][36]

바크트리아-마르기아나 고고학 유적지(BMAC)는 옥수스 문명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기원전 2400년에서 1600년 사이 아프가니스탄 북부, 투르크메니스탄 동부, 우즈베키스탄 남부, 타지키스탄 서부에 위치하며, 상류 아무다리야 강(옥수스 강)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30] 이 유적지는 소련의 고고학자 빅토르 사리아니디에 의해 발견되었다.[30] BMAC은 인더스 문명, 이란 고원과 밀접한 국제 관계를 맺었고, 간접적으로 메소포타미아와도 관계를 맺었다.[31]

3. 6.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의 청동기 시대는 사회 계층화나 전쟁보다는 농업 발달과 관련이 깊다는 특징을 보인다.[65]

베트남에서는 동손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동손 청동북이 홍강 삼각주와 중국 남부 지역에서 발굴되었다.[68] 베트남 북부의 고고학적 연구에 따르면 금속 가공의 출현 이후 전염병 발생률이 증가했는데, 이는 인구 밀도 증가와 토지 개간, 농업으로 인한 식단 변화, 또는 새로운 전염병의 등장 등이 원인으로 추정된다.[69]

태국의 반치앙에서는 기원전 210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청동기 유물이 발견되었다.[63]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근거로 반치앙의 초기 청동기 시대가 기원전 2천년기 후반이라고 주장한다.[66] 찰스 하이엄이 발굴한 반 논 와트는 640개가 넘는 무덤과 복잡한 청동기 유물이 발견된 풍부한 유적지이다.[64] 반창 유적지는 동남아시아에서 금속 제련의 가장 명확한 증거를 가지고 있으며, 초기부터 현장 주조를 시사하는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이는 청동이 다른 나라에서 동남아시아로 처음 유입되었다는 이론을 뒷받침한다.[65]

미얀마의 냐웅간에서는 청동기 도구가 도자기 및 석기 유물과 함께 발굴되었으며, 연대는 기원전 3500~500년으로 추정된다.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의 청동기 시대 금속 제련은 사회적 계층화와 전쟁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사회적 분배는 족장 사회에서 이질적인 네트워크로 이동했다.[65] 반 룸 카오, 반 나 디, 논 녹 타, 콕 파놈 디, 농 노르와 같은 유적지에 대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연구자들은 굳건한 계층 구조가 없었다는 결론을 내렸다.[67]

3. 7. 아프리카

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서 철과 구리 제련은 거의 동시에 나타났다.[97][98] 따라서 이집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고대 아프리카 문명은 구리 시대를 거치지 않았다. 철 제련의 증거는 나이지리아(약 기원전 900~800년), 르완다부룬디(약 기원전 700~500년), 탄자니아(약 기원전 300년)에서 구리 제련과 동시에 또는 더 이전에 나타난다.[98][99][100]

사하라 사막을 건너 북아프리카 또는 인도양에서 구리와 철 야금술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되었는지, 아니면 외부에서 도입되었는지에 대한 오랜 논쟁이 있다.[98] 독자적 개발과 외부 도입 이론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며 활발한 학술적 논쟁의 대상이다.[98] 학자들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고고학적 연구 부족과 오랜 편견이 아프리카 대륙의 선사 시대 야금술에 대한 이해를 제한하거나 편향시켰다고 제안했다.[99][101][102]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에서도 청동기 시대는 존재하지 않으며, 구리의 사용 자체도 철기 전래 이후이고, 장신구 등 제한적인 사용에 그쳤다.[110]

서아프리카에서는 철 제련이 등장하기 이전에 구리 제련이 이루어졌다. 니제르 아가데즈(Agadez) 근처에서 발견된 구리 제련로의 증거는 기원전 22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99] 그러나 이 지역에서 기원전 1000년 이전의 구리 생산에 대한 증거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103][97][99] 모리타니(Mauretania) 아크주이트(Akjoujt)에서 발견된 구리 채광 및 제련의 증거는 기원전 800년~400년경 소규모 생산을 시사한다.[99]

3. 8. 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서는 기원전 1500년 직전의 몇 세기에 걸쳐 안데스 산맥 일대에서 청동기의 대량생산이 막 시작되었다.[104] 모체 문화는 독자적으로 청동 제련을 발견하고 발전시켰으며,[104] 잉카 제국에 의해 더욱 발전되어 실용적인 물건과 조각에 널리 사용되었다.[105] 멕시코 서부에서 나중에 나타난 제한적인 청동 제련은 해당 지역이 안데스 문명과 접촉했거나 기술을 별도로 발견했음을 시사한다. 아르헨티나 북서부의 칼차키족은 청동 기술을 가지고 있었다.[106]

중남미에서는 철을 발견하지 않고도 문명과 문화를 발전시켜 역사 시대에 진입했기 때문에, 청동기 시대라는 구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광업·야금 기술의 발전과 함께 청동뿐만 아니라 금과 은, 또는 금·은·구리 합금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금속기의 사용은 거의 장신구 등 일부에 그쳤고, 무기 등 실용품의 대부분은 석기인 채로, 소위 금석 병용 상태였다.

4. 청동기 시대의 종말과 철기 시대로의 이행



청동기 시대의 종말은 기원전 1200년경 '기원전 1200년의 카타스트로프'라고 불리는 사건과 함께 찾아왔다. 이 시기 에게 해 지역에서는 미노아의 패권 쇠퇴 이후 지역 무역 제국이었던 미케네 문명의 행정부도 쇠퇴하였다.[76] 미노아 속국들은 기근과 전염병으로 인구의 상당수를 잃었고, 이는 무역 네트워크의 실패로 이어져 이전에는 기근을 해소하고 질병을 예방했던 무역이 중단되었음을 의미한다. 흑해 북부 지역의 곡창지대 또한 인구가 감소하고 농작물 재배 능력을 상실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아나톨리아의 가뭄과 기근은 에게 해 지역이 청동기와 사치품에 접근하지 못하게 하여 에게 해 붕괴를 야기했을 수 있다.[77]

에게 해 붕괴는 키프로스 숲의 고갈로 인한 청동기 무역의 종식 때문이라고 여겨져 왔다.[78][79][80] 실험에 따르면 후기 청동기 시대 청동기 생산에 필요한 숯 생산은 50년도 채 되지 않아 숲을 고갈시켰을 것이다. 철기구가 더 흔해짐에 따라 주석 무역의 주요 정당성이 사라지고 그 무역 네트워크가 이전처럼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 것도 에게 해 붕괴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81]

테라 화산 폭발은 크레타 북쪽 110km 지점에서 발생했다. 이로인해 쓰나미가 크레타 도시들을 파괴하고, 크레타 해군을 본거지 항구에서 파괴하여 중요한 해전에서 패배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LMIB/LMII 사건(기원전 1450년경)에서 크레타 도시들이 불타고 미케네 문명크노소스를 정복했다. 테라 화산 폭발은 크노소스의 붕괴와 청동기 시대 사회 전체의 붕괴로 이어진 불안정을 촉발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고고학적 발견에 따르면 폭발 당시 미노아 문명의 중심지가 크레타가 아니라 테라에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82] 이 이론에 따르면, 폭발로 인한 정치적, 행정적, 경제적 중심지의 파괴적인 손실과 쓰나미가 크레타의 해안 도시와 마을에 입힌 피해는 미노아의 쇠퇴를 촉진했다. 약화된 정치 단체는 정복에 더 취약했을 것이다. 실제로 산토리니 화산 폭발은 기원전 1630년경으로 추정되며,[83] 몇십 년 후인 기원전 1600년경에 미케네 그리스인들이 처음으로 역사 기록에 등장한다. 후대의 미케네인들의 크레타 침공(기원전 1450년경)과 트로이 침공(기원전 1250년경)은 그리스인들이 약화된 미노아 세계를 꾸준히 침범한 것을 보여준다.

히타이트의 철기 제조 기술은 해양 민족의 침입으로 인해 주변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철은 청동보다 단단하고 생산 비용이 저렴하여, 청동기를 대체하고 새로운 철기 시대를 열었다.

5. 각주

참조

[1] 백과사전 The Metal Ages https://www.britanni[...] 2024-09-16
[2] 서적 Science and Technology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6-04-14
[3] 학술지 Tainted ores and the rise of tin bronzes in Eurasia, c. 6500 years ago http://discovery.ucl[...]
[4] 학술지 Context is everything: comments on Radivojevic et al. (2013)
[5] 학술지 Context is everything indeed: a response to Sljivar and Boric
[6] 기타
[7] 서적 Dictionary of the ancient Near East
[8]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c. 3000–330 BC
[9] 학술지 Hazor Eb III City Abandonment and Iba People Return: Radiocarbon Chronology and ITS Implications
[10] 서적 The Philistines and Other 'Sea Peoples' in Text and Archaeology https://books.google[...]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11] 서적 The End of the Bronze Age: Changes in Warfare and the Catastrophe ca. 1200 B.C.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 서적 Egypt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during the Old Kingdom
[13]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Ancient World
[14] 서적 A comparative study of thirty city-state cultures: An investigation conducted by the Copenhagen Polis Centre Det Kongelike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15] 학술지 Indigenous African Metallurgy: Nature and Culture
[16] 서적 Gods, goddesses, and images of God in ancient Israel
[17] 서적 Ancient Egypt: A Social History
[18] 서적 The treasure of the Oxus https://books.google[...] British Museum
[19]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20] 서적 Kulli: An exploration of ancient civilization in Asia Carolina Academic Press
[21] 서적 Prehistoric India to 1000 B.C. Penguin
[22] 서적 A Comparative Study of Thirty City-state Cultures: An Investigation https://books.google[...] Kgl.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2015-06-05
[23] 기타
[24] 학술지 Ethnicity and origin of the Iron I settlers in the Highlands of Canaan: Can the real Israel stand up?
[25] 서적 The archaeology of the Israelite settlement Israel Exploration Society
[26] 서적 From nomadism to monarchy: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aspects of early Israel Yad Izhak Ben-Zvi
[27] 학술지 The archaeology of the United Monarchy: an alternative view
[28] 서적 The Bible Unearthed: Archaeology's New Vision of Ancient Israel and the Origin of Sacred Texts Simon & Schuster
[29] 학술지 Agriculture in the Central Asian Bronze Age 2015-09-01
[30] 서적 Treasures from the Oxus I. B. Tauris
[31] 서적 The Indus Civilization: A Contemporary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Rowman Altamira
[32] 학술지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South and Central Asia
[33] 학술지 Scholars crack the code of an ancient enigma 2009-01
[34] 학술지 The Transmission of Early Bronze Technology to Thailand: New Perspectives
[35] 학술지 Unravelling migrations in the steppe: Mitochondrial DNA sequences from ancient central Asians
[36] 논문 Ancient DNA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history of south Siberian Kurgan people
[37] 서적 Landscapes and Societies: Selected Cases Springer
[38]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Asian civilizations Infobase
[39] 간행물 Prehistoric Times https://books.google[...] The Athenaeum
[40] 서적 China in the Early Bronze Age: Shang Civiliz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1] 간행물 The Rectangular Review, Volume 1 https://books.google[...]
[42] 서적 Monumentality in Early Chinese Art and Architecture
[43] 서적 Studies of Shang Archaeology Yale University Press
[44] 서적 Studies of Shang Archaeology Yale University Press
[45] 웹사이트 Teaching Chinese Archaeology, Part Two http://www.nga.gov/e[...] Nga.gov 2016-09-24
[46] 웹사이트 Shang and Zhou Dynasties: The Bronze Age of China Heilbrunn Timeline http://www.metmuseu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5-13
[47] 논문 Questions of Ancient Human Settlements in Xinjiang and the Early Silk Road Trade, with an Overview of the Silk Road Research Institutions and Scholars in Beijing, Gansu, and Xinjiang http://sino-platonic[...] 2012-05-21
[48] 논문 A Discussion on Early Metals and the Origins of Bronze Casting in China http://www.kaogu.cn/[...]
[49] 서적 Bronze Casting and Bronze Alloys in Ancient China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and Monumenta Serica
[50] 서적 Bronze Culture of Ancient China University of Toronto Press
[51] 서적 Ancient Chinese Bronzes: Terminology and Iconology Siebenbad-Verlag
[52] 서적 Sources of Western Zhou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3] 서적 Sources of Western Zhou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4] 서적 Sources of Western Zhou Histo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5] 웹사이트 Kyoto National Museum https://www.kyohaku.[...] 2023-08-02
[56] 서적 Korea, Old and New: A History Korea Institute, Harvard University
[57] 웹사이트 1000 BC to 300 AD: Korea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2016-09-24
[58] 논문 High spatial dynamics-photoluminescence imaging reveals the metallurgy of the earliest lost-wax cast object 2016-11-15
[59] 웹사이트 Centre for Cultural Resources and Training (CCRT) http://ccrtindia.gov[...] 2020-07-08
[60] 서적 The Ancient Indus: Urbanism, Economy,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1] 서적 A Population History of India: From the First Modern People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The Ancient Indus Valley: New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ABC-ClIO
[63] 웹사이트 Bronze from Ban Chiang, Thailand: A view from the Laboratory http://penn.museum/d[...] Penn Museum 2016-09-24
[64] 논문 The Bronze Age of Southeast Asia: New insight on social change from Ban Non Wat
[65] 논문 Incorporating Heterarchy into Theory on Socio-political Development: The Case from Southeast Asia
[66] 논문 The Origins of the Bronze Age of Southeast Asia
[67] 논문 Further evidence of heterarchy in Bronze Age Thailand
[68] 서적 The Birth of Vietna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9] 논문 Skeletal evidence for the emergence of infectious disease in bronze and iron age northern Vietnam
[70] 논문 Early Chariots and Religion in South-East Europe and the Aegean During the Bronze Age: A Reappraisal of the Dupljaja Chariot in Context
[71] 서적 Gems and Gemstones: Timeless Natural Beauty of the Mineral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11-15
[72] 웹사이트 Mystery of the Varna Gold: What Caused These Ancient Societies to Disappear? https://www.smithson[...]
[73] 잡지 World's Oldest Gold Object May Have Just Been Unearthed in Bulgaria https://www.smithson[...]
[74] 서적 Encyclopedia of European peoples: Volume 1 (출판사 정보 없음) 2006
[75] 서적 Expectations of life: A study in the demography, statistics, and history of world mortality Springer-Verlag 1990
[76] 서적 The end of the Bronze Age: Changes in warfare and the catastrophe ca. 1200 B.C.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3
[77] 서적 Greek Art and Archaeology Thames & Hudson
[78] 서적 Cities on the Sea Scholars Press 1998
[79] 간행물 The forest resources of Bronze Age Cyprus 1994
[80] 간행물 The prehistory of Cyprus: Problems and prospects (출판일 정보 없음)
[81] 서적 Societies, Networks, and Transitions: To 600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009
[82] 학술지 The great Minoan eruption of Thera volcano and the ensuing tsunami in the Greek Archipelago 1992-03-01
[83] 서적 The Making of the Cretan Landscape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84] 간행물 op. cit. (출판일 정보 없음)
[85] 뉴스 Story of most murderous people of all time revealed in ancient DNA https://www.newscien[...] 2019-03-27
[86] 간행물 (제목 정보 없음) (출판일 정보 없음)
[87] 학술지 Britain's First Brass https://www.cambridg[...] 2004-09-01
[88] 서적 Bronze Age Copper Mining in Britain and Ireland Shir
[89] 서적 The Archaeology of Alderley Edge: Survey, excavation and experiment in an ancient mining landscape John and Erica Hedges
[90] 서적 Cadbury Castle: A hillfort and landscapes The History Press
[91] 간행물 (제목 정보 없음) 1992
[92] 간행물 (제목 정보 없음) (출판일 정보 없음)
[93] 학술지 Re-theorising mobility and the formation of culture and language among the Corded Ware Culture in Europe
[94] 학술지 Genomic transformation and social organization during the Copper Age–Bronze Age transition in southern Iberia 2021-11-19
[95] 서적 The making of Bronze Age Eurasia (출판일 정보 없음)
[96] 학술지 The Beginning of the Bronze Age in Europe and the Indo-Europeans 3500–2500 BC
[97] 학술지 Early Metal Working in Sub-Saharan Africa: A Review of Recent Research
[98] 서적 Encyclopaedia of the History of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in Non-Western Cultures Springer
[99] 학술지 Early West African Metallurgies: New Data and Old Orthodoxy
[100] 학술지 Did They or Didn't They Invent It? Iron in Sub-Saharan Africa https://muse.jhu.edu[...]
[101] 학술지 Cairo to Cape: The Spread of Metallurgy Through Eastern and Southern Africa
[102] 학술지 On Evidence, Ideas and Fantasy: The Origins of Iron in Sub-Saharan Africa: Thoughts on É. Zagato & A. F. C. Holl's 'On the Iron Front'
[103] 학술지 Reassessment of the Evidence for Early Metallurgy in Niger, West Africa
[104] 웹사이트 El bronce y el horizonte medio http://www.lablaa.or[...] 2010-03-22
[105] 웹사이트 Inca Metallurgy http://incas.homeste[...] Incas.homestead.com 2016-09-24
[106] 서적 El bronze de la región calchaquí https://archive.org/[...] Buenos Aires 1904
[107] 논문 Connected Histories: the Dynamics of Bronze Age Interaction and Trade 1500–1100 BC 2015-11-26
[108] 서적 新版金属工学入門 アグネ技術センター 2001
[109] 뉴스 青銅器時代の沈没船:青銅の原料 https://natgeo.nikke[...] 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 2010-02-24
[110] 서적 アフリカを知る事典 平凡社 1989-02-06
[111] 서적 고대문명교류사 사계절 2001
[112] 간행물 Scholars crack the code of an ancient enigma BBC History Magazine 20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